no image
[북스터디] 6장_데이터타입
writed by hanruy1109 데이터 타입이란 데이터 타입(data type)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ES6)는 7개의 타입을 제공한다. 7개의 데이터 타입은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referenc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확보해야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도 다르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2진수도 다르고, 읽어 들여 해석하는 방식도 다르다. 따라서 개발자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타입을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1. 숫자 타입 숫자 타입의 값은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른다. 즉,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숫자 타입은 추가적으로 세 가지 특별한 값도..
2023.09.02
no image
[북스터디] 5장_표현식과 문
값 값(value)은 표현식(expression)이 평가(evaluate)되어 생성된 결과이다.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코드 처럼 10 + 20 이라는 표현식이 평가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한다. 10 + 20; 리터럴 을 사용해 값을 생성할 수도 있는데 리터럴이란 무엇일까? 리터럴 리터럴이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 시점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표현식 표현식(expression)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이다. 표현식이 평가된다는 말은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한다는 말과 같다. 다른 말로 값으로 평가될 수 없다면 표현식이라고 ..
2023.09.02
no image
[북스터디] 4장_변수
변수란?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or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이다. 쉽게 말해 변수란, 특정 메모리 공간의 별명이다. 컴퓨터의 연산과정 먼저 컴퓨터가 아래 식을 연산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0 + 20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을 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이다. “10+20” 이라는 식을 연산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10과 20이라는 데이터 값이 저장되어야 있어야 한다. 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bit)이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드릴 때 셀 하나씩 사용한다.(=8비트씩 읽어들이고 저장한다.) 그림을 보면 0x00001332(8비트)와 같은 것들이 메모리 주소이다. 값 10과 20이 저장되어 ..
2023.09.02